전체 글

단계별로 성장하자!
1. 기본 키 할당 방법 (1) 직접 할당의 경우 @Id private Long id; (2) 자동 생성 할당의 경우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OR AUTO OR SEQUNCE OR TABLE) private Long id; 2. 자동 생성 할당 전략 (1) IDENTITY PK 생성을 DB에 위임한다. DB가 알아서 AUTO INCREMENT로 관리해준다. entityManger.persist()가 실행되는 시점에 즉시 INSERT 쿼리가 실행되어 DB에 반영되고 DB에서 PK를 생성해서 자동 할당하며 영속성 컨텍스트의 1차 캐시에 값을 저장한다. 이걸 알면 같은 트랜잭션 내에서도 persist()이후에는 SELECT 쿼리로 ID..
2022년 08 05일 (금요일) 오늘 한 일 08:00 기상 08:30 ~ 10:30 헬스장 운동 11:00 ~ 03:00 스프링 부트와 JPA를 함께 활용하여 예제 프로젝트 실습 오늘부터 실전!스프링 부트와 JPA활용1편 강의를 듣기 시작했다. 아직 JPA에 대해서 제대로 공부하지는 않은 상태로 한번 전체적인 개발 사이클을 경험하고 싶어서 듣게 되었다. 도메인 주도 개발 개념을 이용하여 개발을 진행하였고 아직 주문 도메인 개발과 웹 계층 개발이 남아서 주말에 진행할 예정이다.
Spring MVC에 대해서 공부하던 중 DispatcherServlet에서 Handler를 매핑하는건 알겠는데 언제 url까지 매핑해서 해당 method를 실행하는거지? 라고 궁금증이 들어서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위의 과정을 이해하려면 먼저 FrontController의 역할을 하는 먼저 DispatcherServlet의 doDispatch()를 보겠습니다. (1) DispatcherServlet의 doDispatch() 위의 파란줄을 보면 getHandler() 를 통해 request에 맞는 handler를 가져오는 것 같은데 한번 확인해보겠습니다. (2) DispatcherServlet의 getHandler() 우선 HandlerExecutionChain을 return하며 HandlerMapping..
1. Path Variable @GetMapping("/{userId}") public String findUser(@PathVariable String userId){ return "get userId=" + userId; } 서버로 데이터를 넘기는 방법 중 하나인데 url 경로 내에 리소스를 추가하는 방법이다. 2. Query Parameter @ResponseBody @RequestMapping("/order") public String requestParamRequired( @RequestParam(required = true) String username, @RequestParam(required = false) Integer age){ log.info("username={}, age={}", ..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1. Servlet? 자바 플랫폼 기반에서 동적인 컴포넌트 단위로 만들어진 웹 Application을 구현하는 자바 클래스 일반 자바 프로그램과 다르게 독자적으로 실행되지 못하고 Tomcat과 같은 JSP/Servlet 컨테이너에서 실행된다. 클라이언트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서버에 요청하면 웹 서버는 요청한 정보의 응답결과를 웹 브라우저로 표현하게 된다. 이때 클라이언트가 요청에 따라 웹 서버에 동적으로 로드되어 동작하는 클래스가 Servlet이다. Server Side Applet이라고 하며 브라우저에서 의존하면 GUI를 가진 Applet과는 다르게 서버에서 운영되며 javax.servlet.Servlet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객체이다. CGI(Common Gateway Interface)의 단점을 보..
DevPoong
Po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