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RMOYm%2FbtsmF50Y73e%2FA1IQAanyv8wyXyQilXmEG1%2Fimg.png)
✢ 데브톡 프로젝트에서 헥사고날 아키텍처를 적용해 보자고 제안해 보기 위해 공부하였고 내용을 정리하였다. 적용해보고자 하는 이유는 데브톡은 MSA로써 Port&Adapter 아키텍처인 헥사고날 아키텍처를 사용하는 게 의존성을 관리하기 좋을 것 같았기 때문이다. (1) 전통적인 레이어드 아키텍처의 문제 1. 데이터베이스 주도 설계를 유도한다. 전통적인 계층형 아키텍처의 토대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웹 계층은 도메인 계층에 의존하고, 도메인 계층은 영속성 계층에 의존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DB에 의존하게 된다. 우리가 보통 개발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목적은 비지니스를 관장하는 규칙이나 정책을 반영한 모델을 만들어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때 우리는 State가 아니라 Behavior를 중..